IT 는 항상 트렌드가 등장합니다.
작년은 스마트TV 였고 올해는 웨어러블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런 트렌드는 거의 두 회사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바로 애플과 구글인데요.
이에 이번 포스트에서는 애플과 구글이 IT 전략의 차이를 가볍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주 가볍게요.
1. 애플의 전략
애플은 Closed Platform 을 지향합니다.
그래서 iTunes 와 App Store 에 모든 컨텐츠와 서비스들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조차 말이죠.
이 집중된 서비스/컨텐츠 플렛폼 내에서 소비자와 개발자들이 마음껏 움직일 수 있도록 에코 시스템을 만들고 그 시스템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주요 전략입니다. 놀 수 있는 공간을 정해두고 그 안에서는 마음껏 놀 수 있게 하는 것이지요.
이런 방식을 통하여 애플은 구글에 비해서 낮은 확장성을 가지게 되지만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자신들의 바운더리어세 완벽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는 애플의 다른 제품들에 대한 추가 구매로 이어지게 합니다.
결국 애플은 서비스를 통하여 소비자가 자신들의 다른 디바이스를 꾸준히 구매하도록 하는 Set 판매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스마트 TV 역시 이러한 전략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2. 구글의 전략
구글은 애플과는 정반대의 플렛폼, Open Platform 을 지향합니다.
자사의 컨텐츠와 서비스 소비를 극대화 시키는 유틸리티 전략을 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는 구글의 주 수입원이 서비스나 컨텐츠가 아닌 광고에서 오는 것에 기인합니다. 최대한 많이 노출되고 많은 사람이 쓸 수록 구글에게 유리해지는 것이지요.
그래서 구글은 오픈서비스를 지향하며 구글의 모든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플렛폼조차 많은 회사들에게 무료로 제공하고 있죠.
하지만 한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구글은 발생하는 모든 서비스를 Monetization Layer 에 무조건 통과시키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사 광고의 트레픽 발생을 높이고 그 결과 높은 광고 수익을 얻게되죠.
결국 구글은 많은 트레픽을 올리고 검색 기반 광고 수익의 극대화를 주요 전략으로 삼고 있습니다.
여러 생태계를 만들고 트렌드를 선도하는 두 회사이지만 이처럼 서로가 추구하는 목표가 다르기에 서로 전혀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엇이 옳고 그르다고 보기보단 이러한 경쟁 속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서비스들에 대해 좀 더 기대하며 지켜보면 더 좋을 것같습니다.
이상 간략한 '애플과 구글의 차이' 였습니다.
다음 포스팅까지 안녕히 계세요 ^^
< 관련자료 >
'boaz INTERES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기기별 콘텐츠 이용패턴 비교 (0) | 2014.10.14 |
---|---|
과연 스마트TV 란 무엇인가? : 스마트TV의 개념과 특징 (0) | 2014.10.07 |
OTT 서비스 란? (0) | 2014.09.15 |
[기사자료] 미래부, 스마트광고 키운다. (0) | 2013.06.03 |
TV 앱컨텐츠 개발 환경에 대해~ (0) | 201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