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az INTERESTS

과연 스마트TV 란 무엇인가? : 스마트TV의 개념과 특징 2014년의 트렌드는 웨어러블입니다.구글도, 애플도, 삼성도, 최근 굵직굵직한 행사에서 웨어러블에 대해 이야기 했었고 당장 내년이면 실제로 보급화할 수 있는 제품들이 등장 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이런 웨어러블 외에도 사람들이 주목하는 트렌드가 하나 더 있습니다.물론 몇몇 사람들은 유수 기업들이 구현하기 힘들어 손을 놓았다고 이야기하지만 사실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 기업들은 가능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연구와 개발에 시간을 투자하고 있을 뿐, 손을 놓거나 하지 않은 트렌드입니다.바로 작년 2013년 최대 트렌드였던 스마트TV 입니다. 오늘은 스마트TV에 대해서 가볍게 정의해보는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아주 가볍게 말이죠~~~. 스마트TV 에 대해서는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정의가 내려지고 있습니다.그 중,.. 더보기
애플과 구글의 IT 전략의 차이 IT 는 항상 트렌드가 등장합니다.작년은 스마트TV 였고 올해는 웨어러블이었습니다.그리고 이런 트렌드는 거의 두 회사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바로 애플과 구글인데요.이에 이번 포스트에서는 애플과 구글이 IT 전략의 차이를 가볍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주 가볍게요. 1. 애플의 전략 애플은 Closed Platform 을 지향합니다.그래서 iTunes 와 App Store 에 모든 컨텐츠와 서비스들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조차 말이죠.이 집중된 서비스/컨텐츠 플렛폼 내에서 소비자와 개발자들이 마음껏 움직일 수 있도록 에코 시스템을 만들고 그 시스템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주요 전략입니다. 놀 수 있는 공간을 정해두고 그 안에서는 마음껏 놀 수 있게 하는 것이지요.이런 방식을 통하여 애.. 더보기
OTT 서비스 란? boazcmt 는 많은 관심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 최근에 가지게 된 관심사로는 OTT 서비스가 있습니다.OTT 서비스....조금은 생소하기도 한 이 서비스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자, 그럼 열린 마음으로 OTT 서비스를 알아볼까요? OTT 서비스는 Over The Top 의 약자로 여기서 Top 은 셋톱박스를 의미합니다.초기 OTT 서비스의 의미는 TV 셋톱박스와 같은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를 의미하였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셋톱박스의 유무를 떠나 PC,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신사나 방송사가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를 모두 포괄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OTT 서비스는 자신이 선호하는 미디어 콘텐츠만을 시청하.. 더보기
[기사자료] 미래부, 스마트광고 키운다. 오늘은 TV에 몸담고 계시는 모든 분들께~ 기대할 만한! 매력있는 기사가 올라와서 공유드릴게요^^ 전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스마트광고시장이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미래부에서도 스마트 광고 진흥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출처 - 머니투데이 - 13.06.03일자 보도자료 앞으로의 TV시장의 미래가 기대가 되는 기사에 뿌듯뿌듯하네요 ^ㅡ^ 더보기
TV 앱컨텐츠 개발 환경에 대해~ 안녕하세요. wiz입니다.오늘은 TV(스마트TV를 제외한 기존 IPTV나 디지털케이블TV) 앱컨텐츠 개발환경에 대해 간단히 얘기를 해 볼까 합니다.물론, 고객(사용자) 입장에서야 환경이 어떻든 관심이 없겠지만(당연한 말씀 ^^) 개발자(사) 입장에서는 상당히 중요하고 민감한 부분이죠~ :)IPTV나 케이블TV 관련 컨텐츠 개발을 하다 보면, 요즘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는 안드로이드나 iOS 등의 소위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개발 플랫폼에 비해 매우 열악한 하드웨어 및 개발 플랫폼으로 인해 좌절아닌 좌절을 할 때가 많은 데요.. 이런 쉽지 않은(?) 환경 및 각 매체별로 폐쇄적인 서비스로 인해 디지털TV기반 개발 진입장벽마저도 다른 플랫폼에 비해 높습니다. 게다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은 어느정도 개발자들이 대부.. 더보기
새로운 UI트렌드 "In the box 오늘은 Jay포스팅하느날 ;> 조금 지난 얘기지만 새롭게 뜨고있는 중인 "In the box"UI에대해 포스팅 해볼까 합니다~ 사람들의 관심사를 북마킹하고,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끼리 컨텐츠를 공유하는 서비스는 많이 존재했다. 이러한 서비스들의 기본바탕이 되었던 UI를 벗어나는, 북마킹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UI가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In the box" UI는 pinterest라는 SNS를 통하여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pinterest.com pinterest의 UI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특징들이 있다. 1. 간단한 글로벌 네비게이션 2. 이미지 (고유버튼 / 원본소스로의 링크) 3. 이미지에 관한 간단한 설명 4. Like / Repin 수의 카운트 5. Like를 누른사람 / 코.. 더보기